본문 바로가기

Health/육아정보

신생아 황달

신생아 황달

신생아 황달(Neonatal Jaundice)의 원인과 진단 및 치료

신생아황달::빌리루빈::모유황달::핵황달

 

 

황달은 혈액의 빌리루빈이란 적갈색 색소의 농도가 증가하여 피부에 축적되어 나타는 질환이다.

 

빌리루빈이란?

빌리루빈은 혈관을 따라 같으로 이동, 효소의 작용에 의해 물에 녹는 결합빌리루빈으로 대사된 다음 담즙을 통해 배설. 이러한 빌리루빈의 대사과정에서 이상이 발생하면 혈액 속에 빌리루빈이 축적되면서 눈의 흰자위 피부가 노랗게 변하는 황달이 발생.

 

신생아 황달은 생후 첫 주 내에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될 정도로 신생아에게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며 대부분의 경우에서 양호한 경과를 보인다. 그러나 심한 신생아 황달의 경우 제때에 치료하지 않을 경우에는 뇌신경계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신생아 황달은 크게 생리적 황달과 병적인 황달로 나눌 수 있는데, 치료법과 경과 및 예후가 많이 다르다.

 

신생아황달

생리적 황달

신생아의 생리적 황달은 대개 두가지 원인으로 발생하는데 태아형 헤모글로빈이 성인형 헤모글로빈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태아형 헤모그로빈이 파괴되면서 생산된 다량의 발리루빈이 혈액 속에서 증가한다.

생후 2~3일 증상을 보이다가 일주일 정도가 지나면 좋아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때 모유는 빌리루빈 제거에 도움을 주어 황달 수치를 떨어뜨리는데 도움이 된다.

 

 

병적인 황달

생리적 황달보다 더 심한 황달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 출생 당일부터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요한다. 아기의 피부가 심하게 노랗게 보이고 또한 흰자위가 노랗게 변한 경우, 아기가 회백색의 변을 봤다면 반드시 병원에 가서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한다.  

빌리루빈의 농도가 과도하게 증가하면 혈액, 뇌 장벽을 통과해서 뇌에 빌리루빈이 침투해 뇌의 일부 조직이 노랗게 변하고 뇌신경 손상을 입는 핵황달이 올 수 있다. 핵황달은 치사율이 높고 후유증이 심각해 반드시 황달이 심하면 입원치료를 적절히 받아야 한다.

 

 

모유황달

모유를 먹이는 아기는 분유를 먹이는 아기에 비해 신생아 황달이 더 잘생긴다. 모유 수유를 하는 신생아에서 빌리루빈 농도가 이상 증가하는데, 모유 수유가 충분하지 않아서 생긴 탈수나 칼로리 섭취 감소 때문에 발생한다. 이때 모유수유는 하루 10회 이상 모유 수유를 하며, 밤에도 수유를 하는것이 모유 황달을 감소에 좋다. 모유 황달이 심할 경우 오히려 모유 수유를 1~3일간 중단하는 것이 좋다. 모유 수유를 중단할 때는 젖의 양이 줄지않게 수유하던 시간에 맞춰 젖을 짜내어 유관이 막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가급적 모유 황달이 심한 경우에는 합병증으로 핵황달이 올 수도 있으므로 입원해서 치료해야 한다.

 

 

신생아 황달의 발생 시기 및 감별법

 

  생후 24시간 이내에 나타나는 황달
   흔한 원인 : Rh 혈액형 부적합성 황달, ABO 혈액형 부적합성 황달, 패혈증
   드문 원인 : 선천성 감염 질환(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증, 톡소플라즈마 감염증, 선천성 풍진)

 

  생후 2~3일에 나타나는 황달 
   흔한 원인 : 생리적 황달
   드문 원인 : 가족성 담즙 정체 질환

 

  3일 이후 1주 내에 나타나는 황달
   흔한 원인 : 조기 모유 황달, 두혈종
   드문 원인 : 패혈증, 선천성 감염 질환(선천성 매독, 톡소플라즈마 감염증,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증)

 

  1주 이후에 나타나는 황달
   흔한 원인 : 후기 모유 황달
   드문 원인 : 패혈증, 신생아 간염, 선천성 담관 폐쇄증, 갈락토오스혈증, 약물에 의한 용혈성 빈혈

 

  생후 1개월 이상 지속되는 황달
   흔한 원인 : 후기 모유 황달
   드문 원인 : 신생아 간염, 선천성 담관 폐쇄증, 선천성 감염 질환(선천성 매독,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증,

              톡소플라즈마 감염증), 갈락토오스혈증, 선천성 갑상선기능 저하증, 농축 담즙 증후군

 

 

신생아 황달

 

 

신생아 황달의 합병증

 

   핵황달

    심한 신생아 황달에서 혈액 내 빌리루빈 농도가 과도하게 증가하게 되면 신생아의 미숙한 혈액,

   뇌 장벽을 통과해서 뇌의 일부 조직에 빌리루빈이 침착하여 노랗게 물들이고 신경 손상을 입히게

   되는데, 이를 핵황달이라고 한다.


    만삭아에서는 혈액 내 빌리루빈 농도가 20 mg/dL 이상일 때 생길 수 있으며, 미숙아에서는 이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핵황달이 생길 수 있다.


    핵황달이 생기게 되면 초기에는 아기가 젖을 잘 빨지 않고, 잠을 많이 자며, 근력이 약해진다.

   핵황달이 더 진행하면 째지는 듯한 울음 소리를 내고, 등이 뒤로 젖혀지면서 뻣뻣해지고 경련을

   하기도 하며, 심한 경우에는 사망하게 됩니다. 그리고 살아 남더라도 뇌성 마비, 만성 경련, 지능

   장애, 청력 소실 등의 후유증이 남기 쉽다.


    핵황달은 특별한 치료법이 없으며, 사망률이 높고 심각한 후유증이 남기 쉬우므로 핵황달이 생기기

   전에 미리 황달을 치료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청동색 아기 증후군 (Bronze baby syndrome)

    포합 빌리루빈이 증가되어 있거나 담관 폐쇄증이 있는 아기를 광선요법으로 치료하면 아기의 피부가

   청동색으로 변하기 쉬운데, 이를 청동색 아기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피부 변색은 시간이 지나

   면서 서서히 좋아진다.

 

 

신생아 황달

 

 

신생아 황달의 치료

 

광선요법

 피부에 축적된 빌리루빈에 푸른 빛을 쬐면 빌리루빈의 형태가 변하여 간에서 담즙으로 배설하거나 신장에서 소변으로 배설하기가 쉬워진다. 대부분의 신생아 황달을 광선요법으로 치료할 수 있으며, 용혈성 황달이나 비용혈성 황달이 있는 만삭아와 저체중 출생아에 모두 교환 수혈의 필요성을 감소시킨니다.

교환 수혈의 적응증이 되는 경우에 광선 요법이 교환 수혈의 대체 치료법이 될 수는 없지만, 용혈성 황달에서 광선 요법이 반복적인 교환 수혈의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는 예방적으로 광선 요법을 함으로써 고빌리루빈혈증을 예방할 수 있고 교환 수혈의 빈도를 줄일 수 있다. 광선요법은 지속적으로 시행하여야 하며, 피부 노출을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아기의 옷을 벗기고 자세를 자주 바꿔준다.

 

신생아황달 치료

 아기의 눈이 강한 빛에 노출되면 망막 손상을 입을 수 있어 반드시 안대를 해서 눈을 보호한다. 광선요법 중에는 탈수 가 오기 쉬우므로 수분을 충분히 공급해 준다. 부작용으로 묽은 변, 피부 발진, 발열, 탈수, 청동색 아기 증후군 등이 있다.

 

교환 수혈

 교환 수혈은 혈액 내 빌리루빈 농도가 많이 높아서 핵황달의 위험성이 높거나, 광선요법을 해도 빌리루빈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때에 시행하는데, 대표적인 경우가 Rh 혈액형 부적합에 의한 용혈성 황달이다.

건강한 만삭아는 생리적 황달 또는 모유 황달 시 25 mg/dL 정도의 빌리루빈 농도에서도 합병증 없이 잘 견디지만, 미숙아의 경우 이보다 훨씬 낮은 농도에서도 핵황달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 교환 수혈을 결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광선요법 중이라도 핵황달을 시사하는 임상 징후가 나타나면 혈액 내 빌리루빈 농도에 상관없이 즉시 교환 수혈을 시행하여야 한다.

 

약물 요법

 생리적 황달이나 모유 황달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페노바비탈을 경구 투여하여 황달을 호전시킬수 있다. 이 약은 간 효소의 작용을 증강시켜서 빌리루빈의 대사와 배출을 촉진시킨다.